지난 포스트에서 serverless의 기본적인 핵심 개념들과 그 중 Services까지 정리를 했다. 이번에는 Functions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Events까지 보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함수파트 내용이 복잡하고 많으니까 천천히 다시 볼 필요가 있는 것 같음)
지난 포스트에서 serverless의 기본적인 핵심 개념들과 그 중 Services까지 정리를 했다. 이번에는 Functions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Events까지 보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함수파트 내용이 복잡하고 많으니까 천천히 다시 볼 필요가 있는 것 같음)
인프라에 대한 걱정을 줄여주는 서버리스는 배우고 나면 정말 편하겠다고 생각한 지가 대충 한 3개월 정도 되어가는 것 같다. 처음 람다를 경험한 건 AWS 아마톤 행사에서 사용했는데, 배포가 정말 코드 한 줄로 이루어 지는 것을 경험하고 (같이 하신 분이 환경 구성을 정말 잘 해주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나중에 따로 프로젝트에서 꼭 써봐야지 했는데, 이제서야 점점 공부를 시작한다. 우선 람다에 대한 개념은 대충 알고 있으니 서버리스 배포를 편하게 도와주는 몇 서버리스 프레임워크 중에, 그 당시에 그나마 진입 장벽이 낮다고 추천 해주셨던 Serverless 라는 서버리스 프레임워크를 사용해보려고 한다.
일단 이 글은 AWS provider를 중심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할 예정이고, 내가 실습한 내용 보다는 Serverless에서 제공해주는 유저 가이드를 공부한 내용 위주로 정리할 생각이다.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